2가백신, 변이바이러스(BN.1, BQ.1, XBB.1 등)에도 효과 확인
주요 내용
□ 감염취약시설 58.5%, 60세 이상 33.2% 동절기 추가접종(1.12. 기준)
○ 2가백신 추가접종 시, 3차접종한 그룹과 중화항체를 비교한 결과, 현재 유행하고 있는 변이바이러스*에 대해 효과 확인**
* BA.4/5, BQ.1, BQ.1.1, XBB, XBB.1, BN.1, BA.2.75 등
** 중화항체가 1.5~2.7배 증가(Cell,1.19.), 중화항체가 3.0~12.5배 증가 (bioRxiv, 1.8.)
○ 각종 연구결과 2가백신의 접종효과와 안전성이 확인되고 있는 만큼, 60세 이상과 감염취약시설 입소자‧종사자는 적극적인 접종 참여 요청
□ 화이자 영유아용(6개월~4세) 단가백신 40만 회분 도입(1.12.)
○ EU, 미국 등에서 조건부허가·긴급사용승인을 받아 접종하고 있으며, 국내의 경우 ‘22.11.25. 식약처 품목허가 완료
○ 백신 활용여부에 대하여 전문가 자문회의, 예방접종 전문위 등에서 논의할 예정
1. 2가백신 접종 시 변이바이러스에 대한 중화항체가 증가
[동절기 접종률 현황]
□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(단장 지영미 청장, 이하 ‘추진단’)은, 오늘 기준(1.12.) 동절기 추가접종률이 감염취약시설에서 58.5%(약 43만건), 60세 이상에서 33.2%(약 427만건)로 나타났다고 밝혔다.
□ 추진단은 방역상황, 신규변이 유행, 백신효과에 대한 최신 연구결과 등을 고려할 때, 건강취약계층의 동절기 추가접종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.
○ 먼저, 60세이상과 요양기관에서 위중증·사망이 집중되고 있다. 주간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 중 60세 이상은 각각 535명(89.6%), 54명(94.7%)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, 전체 사망자의 16.8%가 요양병원·요양원에서 사망하였다.
○ 재감염 비율도 높아지고 있어 이미 감염되었거나 접종한 경우에도 2가백신을 통한 추가접종이 필요함을 방증하고 있다. 최근 전체 인구에서 재감염 추정사례 비율은 지속 증가하고 있으며, 12월 4주 기준으로는 전체 감염자의 19.0%가 재감염으로 추정되고 있다.
- 특히, 요양병원·시설의 경우, 12월 4주 신규 확진자 중 절반(49.69%) 가까이가 재감염으로 확인되었다. 반면, 예방접종 횟수가 증가할수록 재감염자 비율은 낮아지는 경향이 확인*되었다.
* 12월 4주 기준 전체 확진자 중 예방접종력에 따른 재감염 비율 : 미접종 30.29%, 2차접종 20.10%, 3차접종 16.48%, 4차접종 15.03%
- 재감염 시 사망위험은 약 2.1배, 입원위험은 3.1배 이상 증가하는 것 (Nature Medicine, ‘22.11.10.)으로 알려진 만큼, 접종을 통한 재감염 예방이 매우 중요하다.
□ 한편, 2가백신은 BQ.1, BN.1, XBB.1 등, 최근 국내외에서 유행하는 변이바이러스에 대해서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.
○ 먼저, 1월 1주 기준 국내 변이바이러스 검출률 분석 결과, BA.5 세부계통이 52.5%, BN.1은 32.4%로 나타났다. 최근 미국에서 증가하고 있는 XBB.1.5는 0.2%로 낮은 수준이다.
< 1월 1주 변이바이러스 검출률(%) >
구분
|
BA.5 세부계통
|
그 외 세부계통
|
BA.5
|
BQ.1
|
BQ.1.1
|
BF.7
|
소계
|
BN.1
|
BA.2.75
|
XBB.1.5
|
기타
|
계
|
34.4
|
7.3
|
4.8
|
6.0
|
52.5
|
32.4
|
10.0
|
0.2
|
4.9
|
국내감염
|
32.7
|
7.4
|
4.2
|
3.7
|
48.0
|
35.7
|
11.4
|
0.1
|
4.8
|
해외유입
|
40.9
|
6.8
|
7.1
|
15.3
|
70.1
|
19.3
|
4.1
|
0.9
|
5.6
|
○ 최근 발표된 연구*에 따르면, 2가백신으로 추가접종 후 3차 접종한 그룹의 중화항체를 분석한 결과, 현재 국내 우세종인 BA.4/5 변이에 대해 2.7배 이상 중화항체가 증가가 확인되었다.
< 변이주의 혈청 중화능 분석(Cell, 1.19.) >
구분
|
BA.4/5
|
BQ.1
|
BQ.1.1
|
XBB
|
XBB.1
|
3차접종(A)
|
628
|
208
|
139
|
111
|
108
|
3차접종 + 2가백신(B)
|
1,688
|
568
|
337
|
209
|
162
|
중화항체가 증가(B/A)
|
2.7배
|
2.7배
|
2.4배
|
1.9배
|
1.5배
|
* Alarming antibody evasion properties of rising SARS-CoV-2 BQ and XBB subvariants(Cell, 1.19.)
○ 다른 연구에서는 최근 국내에서 증가하고 있는 BN.1 변이에 대한 효과도 추가로 확인되었다. 2가백신으로 추가접종을 한 경우, 단가백신으로 3차까지 접종한 집단에 비해 4.4배의 중화항체가 증가가 확인되었다.
< 변이주의 혈청 중화능 분석(bioRxiv, 1.8.) >
구분
|
BA.5
|
BQ.1
|
BQ.1.1
|
XBB
|
XBB.1
|
BN.1
|
BA.2.75
|
3차접종(A)
|
174
|
18
|
12
|
10
|
9
|
54
|
287
|
3차접종 + 2가백신(B)
|
1,247
|
225
|
145
|
71
|
39
|
239
|
849
|
중화항체가 증가(B/A)
|
7.2배
|
12.5배
|
12.1배
|
7.1배
|
4.3배
|
4.4배
|
3.0배
|
* Bivalent mRNA vaccine improves antibody-mediated neutralization of many SARS-CoV-2 Omicron lineage variants(bioRxiv, 1.8.)
□ 전체 인구에서 2가백신 접종 후 이상사례 신고율은 접종 천 건당 0.35건으로 단가백신 접종 후 신고율(3.72건)보다 낮았으며,
○ 특히, 2가백신 접종권고 대상인 60대 이상 연령에서는 2가백신 접종 후 이상사례 신고율은 0.33건으로 전체 인구보다도 낮았고, 단가백신 접종 후 신고율(3.08건)의 1/9 수준으로 나타났다.(1.1. 기준)
< 코로나19 예방접종 이후 백신별 이상사례 신고율(1.1. 기준) >
연령
|
단가 백신
|
2가 백신
|
신고(건)
|
접종 천 건당 신고율
|
신고(건)
|
접종 천 건당 신고율
|
전체
|
480,020
|
3.72
|
1,853
|
0.35
|
60대 이상
|
128,695
|
3.08
|
1,286
|
0.33
|
□ 지영미 청장은, “국내외 다양한 연구 및 실험실 분석을 통해, 다양하게 출현하고 있는 변이바이러스에 대한 2가백신의 접종효과가 확인되고 있다”고 밝히며,
○ “안전한 겨울나기를 위해, 코로나19 감염 시 중증화 위험이 높은 60세 이상과 요양병원, 요양시설 등 감염취약시설의 입소자‧종사자는 추가접종에 반드시 동참해주실 것을 당부드린다”고 덧붙였다.
[영유아용(6개월~4세) 화이자 백신 약 40만 회분 국내 도입]
□ 추진단은 영유아용(6개월~4세) 화이자 단가백신 40만 회분이 오늘(1.12.) 인천공항*을 통해 국내에 도입된다고 밝혔다.
* 비행 편명 : KE510, 도착시간 1.12(목) 15:40
○ 참고로, 영유아용 화이자 단가백신은 유럽연합, 미국 등*에서 조건부허가·긴급사용승인을 받아 접종에 사용되고 있으며, 국내의 경우 ‘22.11.25. 식약처 품목허가를 받은 바 있다.
* (허가·승인) 미국(’22.6.17), 유럽(‘22.10.20)
□ 추진단은 영유아용 화이자 백신 활용여부를 전문가 자문회의 및 예방접종 전문위 등에서 논의할 예정이며, 빠른 시일 내에 그 결과를 안내하겠다고 밝혔다.
○ 아울러, 안정적인 백신 공급을 위해 제약사와 지속 협의해 나갈 예정이다.
【 ’22~‘23년 백신 도입 현황 및 계획 (’23.1.12. 기준, 단위: 회분) 】
백신 종류
|
확보 물량
|
도입 완료
|
도입 예정
|
계
|
‘22년
|
‘23.1.1~1.12
|
계
|
1억 4,379만
|
7,924만
|
7,884만
|
40만
|
6,455만
|
화이자
|
6,000만
|
4,900만
|
4,860만
|
40만
|
1,100만
|
모더나
|
2,847만
|
2,138만
|
2,138만
|
-
|
709만
|
노바백스
|
4,000만
|
293만
|
293만
|
-
|
3,707만
|
얀센
|
49만
|
49만
|
49만
|
-
|
-
|
코백스
|
483만
|
483만
|
483만
|
-
|
-
|
SK바이오
사이언스
|
1,000만
|
61만
|
61만
|
-
|
939만
|
2. '23년 제1차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보상 전문위원회 결과
□ 예방접종피해보상 전문위원회*(위원장: 서은숙, 이하 ‘보상위원회’)는 1월10일 제1차 보상위원회를 열고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으로 피해보상 신청된 신규사례 총 1,160건을 심의하였다.
* 임상의사, 법의학자, 감염병·면역학·미생물학 전문가, 변호사 및 시민단체(소비자 단체)가 추천한 전문가 등 15명으로 구성
○ 의무기록 및 역학조사 등을 바탕으로 기저질환 및 과거력, 접종 후 이상반응까지의 임상경과 등을 종합적으로 심의하여 141건(12.1%)에 대해 예방접종과의 인과성을 인정하고 보상을 결정하였다.
【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보상 전문위원회 기각 사례】
▵ (사례1) 백신으로 인한 일반 이상반응의 발생시기(통상 접종 후 3일이내) 및 지속기간(통상 접종 후 7일이내 완쾌(호전))의 시간적 개연성이 떨어지는 경우*
* 접종 한달 이후 발생한 근육통, 접종 이후 3개월 이상 지속된 가려움
▵ (사례2) 기저질환 및 백신과 관련 없는 합병증으로 발생한 경우(심근경색, 지방간 등)
▵ (사례3) 장염, 관절염 등 백신이 아닌 감염 요인에 의해 발생한 경우
□ 누적 코로나19 예방접종 피해보상 신청 건수는 92,531건*, 심의 완료 건수는 80,206건(86.7%)으로, 이 중 사망 16건 포함 총 22,665건(28.3%)이 보상 결정되었다.
* 이의신청건(5,201건) 포함
○ 한편 본인부담금 기준 30만 원 미만의 소액 진료비 보상신청건 중 14,742건은 신속한 심의를 위해 시·도에서 자체 심의를 거쳐 5,508건이 보상 결정되었다.
【2022년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보상 심의 현황】
구분
|
심의건수1)
|
보상2)
|
|
기각
|
진료비
|
사망일시보상
|
장애일시보상
|
총계
|
80,206
|
22,665
|
22,660
|
16
|
-
|
57,541
|
보상
위원회
심의
|
소계
|
65,464
|
17,157
|
17,152
|
16
|
-
|
48,307
|
신규심의
|
1,160
|
141
|
141
|
-
|
-
|
1,019
|
기존누계
|
64,304
|
17,016
|
17,011
|
16
|
-
|
47,288
|
시·도 자체 심의
|
14,742
|
5,508
|
5,508
|
-
|
-
|
9,234
|
1) 본인부담금 30만원 이상의 심의 사례 29,148건, 30만원 미만의 심의 사례 51,058건
2) 「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」 시행령 제29조에 따른 보상의 종류로 구분
□ 코로나19 예방접종 피해보상 지원센터(센터장 조경숙, 이하 피해보상지원센터)는 오늘까지 재심의 등을 통해 결정된 관련성 의심 질환 의료비 및 사망위로금 지원사례와 부검 이후 사인불명 위로금 지원사례를 다음과 같이 밝혔다.
○ 관련성 의심질환에 대한 의료비 지원 대상자는 총 1,222명이며, 사망위로금의 지원 대상자는 8명이다.
○ 부검 후 사인불명 위로금 지원 대상자 48명에게는 해당 지자체를 통해 개별 안내하여 신청 접수 중이며, 40명에게 지급 완료하였다.
〈 관련성 의심 질환 의료비 및 사망위로금 지원사업 〉
△ (지원대상) 코로나19 예방접종 이후 관련성 의심질환*이 발생하고, 예방접종피해조사반 또는 예방접종피해보상 전문위원회 심의 결과 심의기준 ④-1**에 해당하는 경우
* 관련성 의심 질환: 국내·외 공신력 있는 기관(WHO, EMA, 식약처, 코로나19백신 안전성위원회 등)에 의해 백신과 관련성이 제기되거나 통계적 연관성이 제시되는 질환
** 심의기준 ④-1: 백신과 이상반응에 대한 자료가 충분하지 않아 인과성이 인정되기 어려운 경우(probably not related, unlikely)
△ (지원범위) 사망위로금 1억원, 의료비(진료비 및 간병비) 5천만원 한도*
*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발생한 질환 관련 필수적인 비급여 포함하여 지원
* 실제 간병비가 발생한 경우에 한하여 1일당 5만원 범위에서 간병비 지원
〈 부검 후 사인불명 위로금 〉
△ (지원대상)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42일 내 사망하고, 부검 결과 ‘사인 불명’ 사례
△ (지원범위) 1천만원
【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보상 사망일시보상금(장제비 포함) 및 사망위로금 현황】
구분
|
계
|
질환
|
인과성 인정
|
16명
|
혈소판감소성혈전증(1명), 심근염(15명)
|
관련성 의심질환
|
8명
|
심근염(3명), 모세혈관누출증후군(3명), 길랭-바레증후군(2명)
|
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,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*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.
* 확진자 급증에 따라 당일 일부 중복 및 오신고 건들이 있어 익일 확인시 정정하고 있습니다. 확진자 신고 및 집계 업무 부담 증가로 오신고 등의 구체적 내역 제공이 어려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.
코로나19 일일 확진자 통계*(국내/해외발생/사망/성별/연령별/시도별 구분) 원시자료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-19 누리집에서 내려 받으실 수 있으며,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**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(매일 18시 이전 업데이트).
*(일일 확진자 통계)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-19 누리집(ncov.mohw.go.kr) 메인화면 좌측 ▶ ‘(누적)확진
▶ 다운로드(화살표선택) ▶ 엑셀파일 시트별 확인가능
**(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) 발생동향 ▶ 시도별 발생동향 ▶ 시도 선택 ▶ (우측 하단) 코로나19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
|
<붙임> 1. 코로나19 예방접종 통계 현황(1. 5.~1. 11.)
2.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통계 현황(1.12.(목) 0시 기준)
3. 코로나19 예방접종 피해보상 심의 기준
4. 2가백신의 효과성
5. 안전한 해외여행을 위한 2가백신 안내문
6. 동절기 추가접종 2가백신 알아보기 (안내문)
7. 동절기 추가접종 Q&A
8. 청소년(12-17세) 동절기 추가접종 안내문
9. 동절기 추가접종 포스터(건강한 겨울나기)
10. 감염병 보도준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