○ (검체 채취) 검체는 의사, 간호사, 임상병리사가 지정된 장소(선별진료소 등)에서 채취합니다. 상기도 검체(지침의 예외 사유가 아닌 경우, 비인두도말 기본)를 채취하며, 하기도 검체는 가래가 있는 환자에서 채취합니다. 검체 채취 시 불편감ㆍ통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.
▶ 간호사와 임상병리사는 의사의 지도하에 시행
<검체 종류별 채취 방법>
검사방법 - 상기도검체, 하기도검체로 구성
상기도 검체
|
- (비인두도말) 콧구멍 깊숙이 면봉을 삽입하여 하비갑개 중하부에서 분비물 채취
- (구인두도말) 혀를 누루고, 면봉으로 편도 주변 인두후벽에서 분비물을 충분히 흡수 하도록 긁어서 채취(비인두도말물 채취가 어려운 경우에 채취)
|
하기도 검체
|
타액 등이 포함되지 않도록 깊이 기침하여 가래 채취
-가래가 없는 경우는 억지로 뱉으면 에어로졸 발생 가능성이 있으므로 가래 유도 금지
|